볼린저밴드 사용방법



오늘은 지표 중 가장 많이 알려진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보고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간단한 매매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볼린저밴드는 주식이나 코인, 선물 등 가격을 볼 수 있는 모든 차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 모든 증권사 어플에서 지원하고 트레이딩뷰에서도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란?

볼린저밴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로서 3개의 선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차트에서 볼린저밴드 설정을 추가하면 3개의 선을 볼 수 있는데 중심선은 이동평균선이며 기본값은 20입니다.

그리고 중심선 위의 상단 밴드는 20일 이동평균선의 표준편차값을 위쪽 방향으로 배수로 나타낸 밴드이며 기본값은 2로 셋팅되어 있습니다.

하단 밴드는 상단 밴드와 마찬가지 이동평균선 표준편차값을 아래 방향으로 배수로 나타낸 밴드입니다.

지표 추가하기

아래처럼 Indicators -> bolinger Bands로 검색하면 지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설정

볼린저밴드 설정값도 변경 가능합니다.

Length의 수치는 볼린저밴드의 중심선 값입니다. 기본값은 20이며 이는 20일 이동평균선과 동일한 선을 나타냅니다.

StdDev는 표준편차값의 배수를 나타냅니다. 기본값은 2로 되어있고 보통 기본값을 사용하거나 3으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숫자가 올라갈 수록 위,아래의 밴드폭이 커집니다.

볼린저밴드 응용

볼린저밴드의 위아래 밴드는 최근 캔들의 변동성의 폭을 보여줍니다.

밴드의 폭이 작으면 횡보하고 있는 구간임을 알 수 있고 캔들의 길이가 길어지고 한 쪽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면 볼린저 밴드이 밴드각도가 바뀌고 크게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볼린저밴드는 횡보하여 밴드가 좁은 구간과 변동성이 발생하여 밴드가 크게 벌어지는 2개의 구간으로 나뉘어 볼 수 있고 이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박스권, 돌파구간과 비슷합니다.

밴드의 폭이 좁을 때 매매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이 줄어들 때 하단 밴드 라인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매매할 수 있습니다.

밴드 하단구간에서 매수 후 밴드 중심선 근처에서 매도하거나 상단 밴드 근처에서 매도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볼린저밴드의 폭이 좁다는 것은 가격이 횡보 중이며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큰 변동성이 나올 때 조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볼린저 밴드의 횡보 매매 팁은 이동평균선 중심선의 각도에 집중하여 중심선의 끝 각도가 위쪽 또는 아래쪽을 바라볼 때 큰 변동성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매매하면 좋습니다.

밴드의 폭이 커질 때 매매

두 번째 매매는 밴드의 폭이 좁은 상태에서 커질때 해당 방향으로 같이 진입하는 돌파매매입니다.

아래의 차트처럼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은 상태에서 볼린저 하단 또는 상단의 밴드를 뚫고 캔들이 나올때 같은 방향으로 포지션을 진입하는 방법입니다.

박스권 전고점을 돌파할 때 같이 진입하는 매매와 같은 형태의 매매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볼린저밴드 상단 또는 하단을 캔들이 돌파할때 거래량(증가)과 중심선(이동평균선)의 각도를 같이 보고 매매하면 조금 더 승률이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볼린저밴드는 분봉과 일봉 모두에 다 적용할 수 있는 지표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많이 보는 지표의 값이 현재 차트에서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것은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꼭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