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반감기와 차트분석



비트코인 채굴은 채굴자가 비트코인을 채굴하여 일정한 보상을 비트코인으로 받는 형태로 채굴이 진행되며 채굴량이 줄어드는 반감기가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하여 알아보고 향후 비트코인의 가격 예측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전달 드리려 합니다.

비트코인 반감기란?

비트코인은 전체 수량(현재 채굴된 비트코인 수 + 향후 채굴되는 비트코인 수)이 정해져있는 코인입니다. 전체 물량이 모두 채굴되는 속도를 지연시키기위해 4년에 한번 채굴되는 수량이 작아지는 반감기가 존재합니다.
초창기에는 비트코인 보상이 50BTC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일정 채굴량이 발생할때마다 채굴자가 받는 보상의 개수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그 주기가 약 4년에 한 번정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반감기 이력

  • 첫 번째 반감기 : 2012년 11월 28일
  • 보상 : 50BTC -> 25BTC
  • 두 번째 반감기 : 2016년 7월 9일
  • 보상 : 25TBC -> 12.5BTC
  • 세 번째 반감기 : 2020년 5월 11일
  • 보상 : 12.5BTC -> 6.25BTC
  • 네 번째 반감기 : ??년 ??월 ??일
  • 보상 : 6.25BTC -> 3.125BTC

주기가 4년마다 발생하였기 때문에 다음 반감기는 2024년으로 예상해볼 수 있으며 6.25BTC -> 3.125BTC로 보상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반감기로 채굴자의 보상이 줄어들면 채굴자가 채굴한 비트코인을 거래소로 이동하여 시장에 매도하는 물량이 작아져서 매도세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공급량이 기존보다 줄어드는 가격 상승의 메리트가 있는 장점이 분명히 있습니다. 지금까지 반감기가 발생했을 때 마다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했다고 하는 말들이 많은데 차트를 보고 확인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반감기 : 2012년 11월 28일

2012년 반감기 후 약 6개월 뒤 비트코인이 대상승이 발생함

2012년 비트코인 차트

두 번째 반감기 : 2016년 7월 9일

2016년 7월 반감기 발생 후 약 10개월뒤 대상승이 발생함

2016년 비트코인 차트

세 번째 반감기 : 2020년 5월 11일

세 번째 반감기 2020년 5월 후 약 8개월 뒤 대상승이 발생함

2020년 비트코인 차트

세 번의 반감기 차트의 공통점을 확인해봅시다.
차트는 일봉차트이며 노란색 동그라미는 반감기일을 표시했습니다. 반감기가 발생한다고 즉시 큰 가격 변동은 세 번 모두 없었습니다. (2012년 첫 반감기 3일전 가격이 500% 상승하는 일봉상 캔들이 있으나 과거 거래량이 무척 작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고 봐도 무방함)

다만 비트코인의 대상승(불장)이 온 년도를 정리하면 1차 불장 2013년, 2차불장 2017년, 3차불장 2021년으로 모두 반감기가 발생하고 천천히 우상향하면서 크게 가격이 올라간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으로 향후 비트코인 가격을 과거 반감기와 과거의 차트 움직임으로 예측해보면 2024년이 반감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과거의 반감기 움직임과 비슷한 패턴이 발생할 경우 2025년에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상승하여 전고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에 배팅해볼 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과거 3번의 반감기 후 1년 뒤 모두 신고가를 기록했기에 2024년 반감기 발생한다면 2025년 또는 26년에 대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예측해 볼 수 있음)

개인적인 비트코인 추천 투자 방법은 24년 반감기 후 25년 큰 상승에 배팅을 해보기 위해서는 매달 동일한 금액으로 조금씩 비트코인 현물을 모아가면 25년에는 큰 수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투자는 개인의 판단으로 진행해야함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비트코인 반감기를 함께 확인해봤습니다.